기다려주세요
도도동짱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전체보기 (65)
    • Diary - Life (9)
    • Diary - IT (7)
    • Data Science (6)
    • CS & Programming (20)
    • Debugging (3)
    • Papers (10)
    • Project (3)
    • Lecture (7)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Github
  • Instagram

공지사항

  • 김동혁입니다 :)

인기 글

태그

  • polyp segmentation
  • ubuntu
  • segmentation
  • 개발
  • GIT
  • 리눅스
  • Linux
  • weakly supervised learning
  • 디버깅
  • 네이버 개발자 오픈클래스
  • 회고
  • 빅데이터
  • weakly supervised semantic segmentation
  • 에러
  • Deep learning
  • WSSS
  • joblib
  • Transformer
  • python
  • 우분투
  • 프로젝트
  • 파이썬
  • attribution method
  • numpay
  •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 투자
  • 취업
  • gpt4
  • 일상

최근 댓글

최근 글

기다려주세요

CS & Programming

Ubuntu rm: descend into write-protected directory 'X', 파일 권한 코드를 알아보자

2022. 12. 7. 09:55

우분투(리눅스)에서 rm 명령어를 통해 뭔가 삭제할 때, 다음 메시지가 뜰 때가 있습니다.

개인 컴퓨터보다는 주로 서버에서 공동작업을 할때 자주 마주 하실 겁니다.

rm: descend into write-protected file/directory '파일명 or 폴더명'?

 

돌려 말하자면 "쓰기 금지된 파일(or 폴더)인데 괜찮냐?"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누군가가 해당 파일에 쓰기(write) 권한을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디렉터리의 권한을 확인해봅시다.

리눅스의 권한 코드는 drwxrwxrwx 총 10자리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끊어서 읽어야 합니다. 

d / rwx / rwx / rwx 
  • d: 해당 object가 디렉터리(폴더)인지 나타내 줍니다.
  • 첫 번째 rwx: 해당 파일의 소유자의 권한 (위 그림에서 tkim)
  • 두 번째 rwx: 해당 그룹원들의 권한 (위 그림에서 software)
  • 세 번째 rwx: 모든 유저에 대한 권한

r: 읽기 권한 (read)

w: 쓰기 권한 (write)

x: 실행 권한 (execute)

 

위의 그림에서는 제 동료인 tkim이 해당 폴더를 소유하고 있고, 제게는 쓰기 권한이 없기 때문에 삭제 시 rm: descend into ~ 명령어가 나오는 겁니다. 따라서 삭제하고 싶은 경우 관리자 권한으로 삭제를 해야합니다. sudo rm

 

결국 해당 파일/폴더는 다른 사람이 생성해놓은 거라, 저런 메시지가 뜨면 먼저 물어보고 작업합시다!
저작자표시 동일조건 (새창열림)

'CS &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ranch 확인하고 생성하기  (0) 2023.01.10
Linux/Ubuntu(리눅스/우분투) 하위 "폴더만" 삭제하기  (0) 2022.12.30
vscode에서 black으로 code format 자동화하기 (python)  (0) 2022.04.03
Ubuntu 20.04에서 swap 메모리 설정하기  (0) 2022.04.02
docker container에서 디스플레이를 못찾는다?  (0) 2022.03.30
도도동짱
Working on it, Walking on IT
Designed By 정상우.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