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리눅스)에서 rm 명령어를 통해 뭔가 삭제할 때, 다음 메시지가 뜰 때가 있습니다.
개인 컴퓨터보다는 주로 서버에서 공동작업을 할때 자주 마주 하실 겁니다.
rm: descend into write-protected file/directory '파일명 or 폴더명'?
돌려 말하자면 "쓰기 금지된 파일(or 폴더)인데 괜찮냐?"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누군가가 해당 파일에 쓰기(write) 권한을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디렉터리의 권한을 확인해봅시다.
리눅스의 권한 코드는 drwxrwxrwx 총 10자리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끊어서 읽어야 합니다.
d / rwx / rwx / rwx
- d: 해당 object가 디렉터리(폴더)인지 나타내 줍니다.
- 첫 번째 rwx: 해당 파일의 소유자의 권한 (위 그림에서 tkim)
- 두 번째 rwx: 해당 그룹원들의 권한 (위 그림에서 software)
- 세 번째 rwx: 모든 유저에 대한 권한
r: 읽기 권한 (read)
w: 쓰기 권한 (write)
x: 실행 권한 (execute)
위의 그림에서는 제 동료인 tkim이 해당 폴더를 소유하고 있고, 제게는 쓰기 권한이 없기 때문에 삭제 시 rm: descend into ~ 명령어가 나오는 겁니다. 따라서 삭제하고 싶은 경우 관리자 권한으로 삭제를 해야합니다. sudo rm
결국 해당 파일/폴더는 다른 사람이 생성해놓은 거라, 저런 메시지가 뜨면 먼저 물어보고 작업합시다!
'CS &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ranch 확인하고 생성하기 (0) | 2023.01.10 |
---|---|
Linux/Ubuntu(리눅스/우분투) 하위 "폴더만" 삭제하기 (0) | 2022.12.30 |
vscode에서 black으로 code format 자동화하기 (python) (0) | 2022.04.03 |
Ubuntu 20.04에서 swap 메모리 설정하기 (0) | 2022.04.02 |
docker container에서 디스플레이를 못찾는다? (0) | 2022.03.30 |